📖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43건

도시가스

도시가스는 지하에 매설된 배관망을 통해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공급되는 기체 연료를 의미합니다. 주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Natural Gas, NG)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나프타 등을 원료로 제조한 가스(Manufactured Gas, MG)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천연가스로 거의 대체되었습니다.

특징

  • 청정 연료: 석탄이나 석유 등 다른 화석 연료에 비해 연소 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입니다.
  • 높은 효율: 연소 효율이 높아 에너지 이용률이 높으며, 정밀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 편리성: 배관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연료를 보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습니다.
  • 안전성: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차단 장치 등 안전 설비가 잘 갖춰져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연성 물질이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합니다.

활용

  • 가정용: 난방, 취사, 온수 공급 등 가정 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 산업용: 발전, 공업용 열원, 원료 등으로 사용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수송용: 압축천연가스(CN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공급 과정

  1. 천연가스 생산: 해외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수입됩니다.
  2. 기화: LNG는 기화 설비를 통해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로 변환됩니다.
  3. 압력 조절: 압력 조절 설비를 통해 배관망에 적합한 압력으로 조정됩니다.
  4. 배관망 공급: 지하에 매설된 배관망을 통해 각 가정이나 산업체로 공급됩니다.
  5. 안전 관리: 가스 누출 감지 및 차단 시스템, 정기적인 안전 점검 등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관련 법규

  • 도시가스사업법: 도시가스 사업의 허가, 공급 의무, 안전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합니다.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액화석유가스(LPG)와 함께 도시가스의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합니다.

관련 단체

  • 한국도시가스협회: 도시가스 사업자들의 협력 및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 단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