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기
도기는 흙을 빚어 구워 만든 기물 또는 그릇을 총칭하는 말이다. 넓은 의미로는 토기와 석기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토기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구워져 강도가 높고 비교적 흡수성이 적은 기물을 지칭한다.
개요
도기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기술 중 하나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흙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제작되며, 단순한 생활용품부터 예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된다. 도기는 제작 과정, 사용된 흙의 종류, 소성 온도, 유약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종류
- 토기: 비교적 낮은 온도(800~1,100℃)에서 구워진 도기로, 다공질이며 흡수성이 높다. 표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빗살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등이 대표적이다.
- 석기: 토기보다 높은 온도(1,200~1,300℃)에서 구워진 도기로, 토기보다 강도가 높고 흡수성이 낮다. 표면에 유약을 바르기도 한다. 신라토기, 고려시대의 옹기 등이 대표적이다.
- 자기: 매우 높은 온도(1,300℃ 이상)에서 구워진 도기로, 매우 단단하고 치밀하며 흡수성이 거의 없다. 표면에 유약을 발라 광택을 내는 경우가 많다. 청자, 백자 등이 대표적이다.
제작 과정
도기의 제작 과정은 크게 흙 준비, 성형, 건조, 소성, 채색 및 장식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흙 준비: 도자기에 적합한 흙을 채취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반죽한다.
- 성형: 흙을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빚는다. 손으로 빚거나 물레, 석고 틀 등을 사용한다.
- 건조: 빚은 도자기를 서서히 말려 수분을 제거한다. 급격한 건조는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 소성: 건조된 도자기를 가마에 넣고 높은 온도로 굽는다. 소성 온도에 따라 도기의 종류가 결정된다.
- 채색 및 장식: 필요에 따라 도자기 표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유약을 바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식한다.
활용
도기는 식기, 저장 용기, 건축 자재,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식기는 인류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저장 용기는 식량 보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도기는 건축물의 외장재나 내장재로 사용되기도 하며, 조각, 공예 등 예술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