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알
눈알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시각 기관인 눈의 핵심 부분을 일컫는 비공식적인 용어입니다. 보다 공식적이고 해부학적인 용어는 안구(眼球)입니다. 안구는 구형 또는 약간의 타원형 형태를 가지며, 외부의 빛을 받아들여 시각 정보를 형성하고 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생명체가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해부학적 구조
안구는 여러 겹의 막과 내부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 요소는 시각 기능을 위해 특화된 역할을 합니다. 주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막 (Sclera):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둘러싸는 질기고 하얀 불투명한 결합 조직 막입니다.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흔히 '흰자위'라고 불리는 부분입니다.
- 각막 (Cornea): 공막의 앞쪽 중앙 부분에 있는 투명한 막입니다. 혈관이 없으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가장 먼저 통과하고 굴절되는 부분입니다. 깨끗하고 투명해야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맥락막 (Choroid): 공막 안쪽에 있는 혈관이 풍부한 막으로, 망막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합니다. 어두운 색소(멜라닌)를 포함하여 눈 내부에서의 빛 반사를 막아 시야를 선명하게 하는 역할도 합니다.
- 홍채 (Iris):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있는 근육 조직으로 이루어진 색깔 있는 막입니다. 맥락막의 앞부분에 해당하며, 눈의 색깔(갈색, 파란색 등)을 결정합니다. 홍채 중앙의 구멍인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합니다.
- 동공 (Pupil): 홍채의 중앙에 있는 실제 구조물이 아니라 빛이 안구 내부로 들어가는 구멍입니다. 홍채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조절됩니다.
- 수정체 (Lens): 동공 뒤에 위치한 투명한 양면 볼록 렌즈 형태의 구조물입니다. 탄성이 있어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정확한 상이 맺히도록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조절 기능을 통해 가까운 물체와 먼 물체를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합니다.
- 망막 (Retina): 안구 가장 안쪽에 있는 신경 조직 막입니다. 빛을 감지하는 시각세포(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분포하며, 들어온 빛 에너지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신경 신호는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 유리체 (Vitreous Humor):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안구 내부 대부분을 채우고 있는 투명하고 젤 형태의 물질입니다.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고 망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방수 (Aqueous Humor): 각막과 수정체 사이의 앞부분을 채우고 있는 투명한 액체입니다. 눈의 앞부분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안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안구는 카메라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외부의 빛은 각막, 방수, 동공, 수정체, 유리체를 순서대로 통과하며 굴절됩니다. 수정체는 모양을 조절하여 망막에 정확하게 상이 맺히도록 초점을 맞춥니다. 망막의 시각세포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경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는 시신경을 통해 뇌의 시각 피질로 전달되어 우리가 물체의 형태, 색깔, 움직임 등을 인식하게 됩니다.
안구는 또한 눈꺼풀, 눈썹, 눈물샘, 안구 운동 근육 등 여러 부속 기관의 보호와 도움을 받아 그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들 부속 기관은 안구를 보호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며,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관련 항목
- 안과
- 시력
-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