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간 교종
뇌간 교종은 뇌간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주로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교종)을 의미합니다. 뇌간은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조물로, 호흡, 심박수, 혈압 조절, 의식 유지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합니다. 뇌간 교종은 이러한 뇌간의 기능을 방해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분류
뇌간 교종은 종양의 종류, 발생 위치, 성장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가장 흔한 유형은 미만성 내재성 교종(Diffuse Intrinsic Pontine Glioma, DIPG)으로,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예후가 매우 좋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섬유성 성상세포종, 모세포성 성상세포종, 핍지교세포종 등이 뇌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뇌간 교종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 위치, 성장 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복시, 안면 마비, 삼킴 곤란, 언어 장애 등과 같은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커지면서 운동 마비, 감각 이상, 호흡 곤란, 의식 저하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DIPG의 경우,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진단 후 수개월 내에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진단
뇌간 교종은 주로 신경학적 검사와 뇌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뇌 영상 검사를 통해 종양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직 검사를 통해 종양의 종류를 확진할 수 있지만, 뇌간이라는 위치적 특성상 조직 검사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뇌간 교종의 치료는 종양의 종류, 크기, 위치, 환자의 나이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수술적 절제,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표적 치료제나 면역 항암제 등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뇌간은 중요한 신경 구조물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므로, 수술적 절제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DIPG의 경우, 방사선 치료가 주된 치료법이지만, 효과가 일시적이며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합니다.
예후
뇌간 교종의 예후는 종양의 종류, 크기, 위치, 환자의 나이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DIPG와 같이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종양도 있지만, 일부 종양은 수술적 절제나 방사선 치료 등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