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생
내생은 어떤 체계나 시스템의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기원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외부의 영향이나 개입 없이 시스템 자체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거나 발생하는 현상, 요인, 과정 등을 가리킨다. 반대말은 외생(外生)이다. 내생의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으며, 경제학, 생물학, 지질학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
경제학: 경제학에서 내생 변수는 모델 내부의 다른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를 의미한다. 반대로 외생 변수는 모델 외부에서 결정되고 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소득이 내생 변수라면, 그 소득은 소비자의 소비 행위나 시장 가격 등 모델 내부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생물학: 생물학에서는 내생 물질이라고 하면, 생물체 내부에서 합성되거나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어, 호르몬은 내생 물질의 대표적인 예이다.
-
지질학: 지질학에서는 내생 광물이라고 하면, 지구 내부의 마그마 활동 등에 의해 생성된 광물을 의미한다. 화성암에 포함된 광물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내생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므로, 각 분야의 맥락을 고려하여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은 일반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의미는 해당 분야의 전문 서적이나 논문을 참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