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내각제

내각제는 행정부의 수반인 총리(또는 수상)를 의회가 선출하고, 내각이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정치 체제이다. 의원내각제라고도 불린다.

개요

내각제는 권력 분립의 한 형태로, 입법부(의회)와 행정부(내각)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의회는 내각을 구성하고 불신임할 수 있으며, 내각은 의회를 해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이러한 상호 견제와 균형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도모한다.

특징

  • 의회에 대한 내각의 책임: 내각은 의회의 신임을 바탕으로 존립하며, 의회는 내각 불신임권을 행사하여 내각을 해산할 수 있다.
  • 의회의 내각 구성 및 선출: 일반적으로 의회 다수당 또는 연합이 내각을 구성하며,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된다.
  • 의회의 내각 해산 권한: 내각은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거나 의회와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의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 국가원수의 상징적 역할: 국가원수는 대개 상징적인 역할에 머무르며, 실질적인 행정 권한은 총리에게 있다. (단, 국가원수가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이원집정부제와는 구별된다.)
  • 정책 결정의 신속성: 의회 다수당이 내각을 구성하므로 정책 결정 과정이 비교적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단점

장점:

  • 정치적 안정성: 의회 다수당이 내각을 구성하므로 정국 운영의 안정성이 높다.
  • 책임 정치 구현: 내각은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므로 국민의 의사를 반영한 정책 추진이 가능하다.
  • 정책 결정의 효율성: 의회와 내각의 협력을 통해 정책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점:

  • 다수당의 횡포 가능성: 다수당이 내각을 장악할 경우 소수 의견이 무시될 수 있다.
  • 정당 간 연합 정치의 불안정성: 연립 정부 구성 시 정당 간 이해관계에 따라 정국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 국민의 직접적인 선택권 제한: 국민은 총리를 직접 선출하지 않으므로 대표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의 예

영국, 캐나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이 대표적인 내각제 국가이다. 각 국가별로 역사적 배경과 정치 문화에 따라 내각제의 형태와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