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
기와는 진흙을 구워 만든 건축 자재로, 주로 지붕을 덮는 데 사용됩니다. 기와는 빗물이나 눈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단열 효과를 제공하며,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역사
기와는 고대부터 사용된 건축 자재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특히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와 문양의 기와가 제작되었습니다.
종류
기와는 형태, 재료, 제작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형태에 따른 분류: 암키와, 수키와, 막새기와, 착고기와 등이 있습니다. 암키와는 넓적한 형태이며, 수키와는 반원통형 형태입니다. 막새기와는 기와의 끝부분에 장식적인 문양을 넣은 기와이며, 착고기와는 지붕의 마루를 덮는 데 사용되는 기와입니다.
- 재료에 따른 분류: 점토기와, 시멘트기와, 금속기와 등이 있습니다. 점토기와는 진흙을 구워 만든 기와이며, 시멘트기와는 시멘트를 주재료로 만든 기와입니다. 금속기와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기와입니다.
- 제작 방식에 따른 분류: 손으로 빚어 만든 기와와 기계로 찍어낸 기와가 있습니다.
특징
기와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성이 좋으며, 단열 효과가 우수합니다. 또한, 기와는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제작될 수 있어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데 효과적입니다.
용도
기와는 주로 지붕을 덮는 데 사용되지만, 담장이나 벽면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기와는 전통 건축물뿐만 아니라 현대 건축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