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41건

관형절

관형절은 문법에서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수식하는 절을 의미한다. 즉, 문장 안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갖춘 절이 마치 하나의 형용사처럼 기능하여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형절은 문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정보를 추가하는 데 기여한다.

특징

  • 체언 수식: 관형절은 반드시 체언을 수식해야 한다. 수식받는 체언을 '피수식어'라고 한다.
  • 절의 형태: 관형절은 주어와 서술어를 포함하는 절의 형태를 갖는다.
  • 관형사형 어미: 관형절은 서술어에 관형사형 어미(‘-는, -ㄴ, -ㄹ, -던’ 등)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읽는 책", "읽은 책", "읽을 책", "읽던 책" 등이 있다.
  • 문장 성분 생략: 관형절 내부에서는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의 문장 성분이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생략된 성분은 피수식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읽는 책"에서 '읽는'의 목적어가 생략되었지만, 그 목적어가 '책'임을 알 수 있다.

예시

  • 새가 나는 하늘: '나는'은 관형절이며, '하늘'이라는 명사를 수식한다.
  • 어제 만난 친구: '만난'은 관형절이며, '친구'라는 명사를 수식한다.
  • 내가 좋아하는 음식: '좋아하는'은 관형절이며, '음식'이라는 명사를 수식한다.

관련 개념

  • 관형사: 관형절과 마찬가지로 체언을 수식하지만, 절의 형태가 아닌 단어이다.
  • 명사절, 서술절, 부사절: 문장 내에서 명사, 서술어, 부사 역할을 하는 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