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형
기본형 (基本形)은 언어학에서 단어의 활용에서 변화하지 않는 형태, 즉 어형 변화를 일으키기 이전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를 지칭한다. 이는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때 사용하는 표제어와 동일한 경우가 많다. 동사의 경우, 기본형은 보통 '-다'로 끝나는 형태(예: 하다, 먹다, 가다)이며, 형용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로 끝나는 형태(예: 예쁘다, 넓다, 많다)이다.
명사의 경우에는 활용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명사 자체의 형태가 기본형이 된다 (예: 책, 사람, 하늘).
기본형은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다른 어형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하였다', '하니', '하면' 등의 활용형은 모두 '하다'라는 기본형에서 파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기본형을 알면 다양한 활용형의 의미를 쉽게 파악하고 문법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형은 또한 언어 교육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외국어 학습자가 단어를 암기하고 활용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이다. 사전을 활용하거나 문법 규칙을 이해할 때 기본형을 기준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