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사
관제사(管制士)는 항공 교통 관제 기관에서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돕기 위해 항공 교통 관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항공기와 직접 무선 통신을 하며, 항공기의 이륙, 착륙, 항로 이동 등을 지시하고, 항공기 간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역할 및 책임
- 항공 교통 흐름 관리: 공항 및 항로의 항공 교통 흐름을 예측하고 관리하여 지연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 안전 유지: 항공기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하고, 위험 상황을 예방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한다.
- 정보 제공: 조종사에게 기상 정보, 항행 정보, 공항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협력: 관련 기관(공항 운영자, 항공사, 기상청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류
관제사는 업무 영역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비행장 관제사: 공항에서 이륙 및 착륙하는 항공기를 관제한다.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등 공항 지역 내의 항공기 이동을 지시한다.
- 접근 관제사: 공항 주변의 항공기를 관제한다. 이륙 후 상승하는 항공기 또는 착륙을 위해 하강하는 항공기를 담당한다.
- 항로 관제사: 공항 간을 운항하는 항공기를 관제한다. 고고도 항로를 따라 운항하는 항공기의 안전을 책임진다.
자격 요건
관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학력: 관련 학과(항공 교통 관제학과 등) 졸업 또는 관련 분야 경력
- 어학 능력: 영어 능력 (항공 통신은 국제적으로 영어로 진행됨)
- 자격증: 국토교통부에서 발급하는 항공 교통 관제사 자격증
- 신체 조건: 시력, 청력 등 항공 교통 관제 업무 수행에 필요한 신체 조건
근무 환경
관제사는 주로 공항 관제탑, 접근 관제소, 항로 관제소 등에서 근무한다.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도의 집중력과 스트레스 관리 능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