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631건

관속

관속은 식물에서 물, 무기 염류, 그리고 광합성 산물을 운반하는 조직계이다. 관다발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뿌리, 줄기, 잎 등 식물체의 여러 기관에 걸쳐 분포한다. 관속은 크게 물관(木管, xylem)과 체관(篩管, phloem)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형성층(形成層, cambium)이 함께 존재하기도 한다.

  • 물관 (Xylem): 뿌리에서 흡수된 물과 무기 염류를 식물체의 다른 부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물관 세포는 리그닌으로 강화된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식물체의 지지에도 기여한다. 물관은 죽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 사이의 구멍을 통해 물이 이동한다.

  • 체관 (Phloem): 잎에서 광합성으로 생성된 유기 양분(주로 설탕)을 식물체의 생장점, 저장 기관 등 필요한 곳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체관은 살아있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관 세포 사이에는 체판(篩板)이라는 구조가 있어 물질의 이동을 조절한다.

  • 형성층 (Cambium): 일부 식물에서 물관과 체관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층으로, 세포 분열을 통해 물관과 체관을 계속적으로 생성하여 식물체의 굵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목본 식물에서 활발하게 작용한다.

관속의 배열 방식은 식물의 종류와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쌍떡잎식물의 줄기에서는 관속이 규칙적인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는 반면, 외떡잎식물의 줄기에서는 관속이 흩어져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관속의 구조와 배열은 식물의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식물 분류의 기준으로도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