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관리비

관리비는 공동주택, 집합건물 등에서 건물의 유지, 보수, 관리 등을 위해 입주자 또는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개요

관리비는 단순히 건물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넘어, 입주민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괄한다. 따라서 관리비의 구성 항목은 건물의 종류, 규모,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성 항목

일반적으로 관리비는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된다.

  • 일반관리비: 건물 관리 직원의 인건비, 사무용품비, 관리 용품비 등 건물 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비용을 포함한다.
  • 청소비: 건물 내외부 청소, 쓰레기 수거 및 처리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 경비비: 건물 경비 인력의 인건비, 보안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 등 건물 보안에 필요한 비용이다.
  • 소독비: 건물 내 해충 방역 및 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 승강기유지비: 승강기 점검, 수리, 부품 교체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 화재보험료: 건물 화재보험 가입에 필요한 보험료이다.
  • 수선유지비: 건물 노후 시설의 보수, 교체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장기수선충당금과는 별도로, 일상적인 유지보수에 사용된다.
  • 장기수선충당금: 건물의 주요 시설 교체 및 보수를 위해 적립하는 금액이다. 사용 주체가 일반적으로 소유자에게 있다.
  • 난방비: 중앙난방 방식의 건물에서 난방에 사용되는 연료비이다. 개별난방의 경우, 각 세대에서 직접 부담한다.
  • 급탕비: 중앙급탕 방식의 건물에서 온수 사용에 사용되는 연료비이다.
  • 수도료: 공용으로 사용되는 수도요금을 포함한다.

부과 방식

관리비는 일반적으로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부과되지만, 일부 항목은 세대별 사용량에 따라 차등 부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비나 급탕비는 각 세대의 사용량에 따라 부과되는 경우가 많다.

관리비 관련 분쟁

관리비 부과 및 사용 내역에 대한 투명성 부족, 과다한 관리비 부과 등으로 인해 입주민과 관리 주체 간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리비 부과 내역을 명확하게 공개하고, 입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관련 법규

  • 공동주택관리법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