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195건

고진감래

고진감래(苦盡甘來)는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어원 및 유래:

  • 유래: 불교 경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중국 고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정확한 문헌적 근거는 찾기 어려우나, 오랜 기간 동안 고통과 어려움을 이겨낸 후에 얻는 기쁨과 행복을 강조하는 교훈으로 사용되어 왔다.

  • 한자: 苦(괴로울 고), 盡(다할 진), 甘(달 감), 來(올 래)

의미:

인생의 어려움과 고통을 참고 견디면, 반드시 좋은 날이 온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개인의 노력과 인내를 통해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과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가치관을 나타낸다.

용례:

  • "이번 시험은 정말 힘들었지만, 합격이라는 결과를 얻으니 고진감래라는 말이 실감난다."
  • "회사의 어려운 시기를 직원들이 모두 합심하여 극복했으니, 이제 고진감래의 시간이 올 것이다."
  •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포기하지 마세요, 고진감래라는 말이 있잖아요." 와 같이 격려의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표현:

  • 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운 일이 지나면 슬픈 일이 온다는 뜻으로, 고진감래와는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인생의 부침을 나타내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 전화위복(轉禍爲福): 화가 바뀌어 복이 된다는 뜻으로,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극복하여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점에서 고진감래와 유사하다.

참고 문헌:

  •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