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부직포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는 섬유를 직조하거나 편직하는 대신, 화학적, 기계적, 열적 방법 등을 사용하여 섬유를 결합하여 만든 섬유 제품이다. 직물과는 달리 섬유를 실로 만들 필요 없이 바로 천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징

  • 제조 공정: 직물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 비용 효율성: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다양한 물성: 섬유의 종류, 결합 방식, 후가공 처리 등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통기성, 강도, 유연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
  • 다양한 용도: 위생용품(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의료용품(수술포, 가운), 산업용품(필터, 건축 자재), 농업용품, 포장재, 의류 부자재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제조 방법

부직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주요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건식 부직포: 섬유를 공기 중에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 펀칭, 화학 접착, 열 접착 등을 통해 섬유를 결합한다.
  • 습식 부직포: 섬유를 물에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탈수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섬유를 결합한다.
  • 방사 직접 부직포: 폴리머를 용융 방사하여 섬유를 형성하고, 동시에 웹을 형성하여 섬유를 결합한다.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등이 대표적인 방사 직접 방식이다.

환경 영향

부직포의 환경 영향은 섬유의 종류와 제조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석유화학 기반의 합성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등)로 만든 부직포는 생분해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천연 섬유(면, 레이온 등)나 생분해성 합성 섬유(PLA 등)로 만든 부직포는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부직포를 개발하고, 사용 후 부직포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표준

부직포의 품질과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산업표준(KS),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등이 있다.

참고 문헌

  • 섬유기술과 산업 (한국섬유공학회)
  • Nonwoven Fabrics (Radko Koth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