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21건

경험주의

경험주의 (經驗主義, Empiricism)는 지식의 원천을 감각 경험, 즉 관찰과 실험에 두는 철학적 입장이다. 합리주의가 이성적 사고를 통해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보는 반면, 경험주의는 인간은 태어날 때 백지 상태(tabula rasa)이며, 경험을 통해서만 지식을 습득한다고 주장한다.

핵심 사상

경험주의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 경험의 중요성: 모든 지식은 궁극적으로 감각 경험에서 비롯된다.
  • 선천적 관념의 부정: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관념이나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 귀납적 추론: 개별적인 경험으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귀납적 추론을 중시한다.

역사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주의적 경향을 보였지만, 근대 경험주의는 17-18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주요 인물로는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 등이 있다. 이들은 인간 정신의 작동 방식과 지식의 기원을 탐구하며, 경험주의적 인식론을 확립했다.

  • 존 로크: 인간의 마음은 백지 상태이며, 경험을 통해 관념이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저서 《인간 오성론》은 경험주의 인식론의 기초를 다졌다.
  • 조지 버클리: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esse est percipi)이라는 유명한 명제를 통해, 감각 경험이 현실의 유일한 근거라고 주장했다.
  • 데이비드 흄: 인과관계는 단순히 경험적 연관에 불과하며, 필연적인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의 회의주의적 경험론은 이후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향

경험주의는 과학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적 방법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정치 철학, 윤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현대 사회과학의 기초가 되었다. 경험주의는 오늘날에도 중요한 철학적 입장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연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