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88건

결례

결례 (缺禮)는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나 말, 또는 그러한 행위를 통해 상대방에게 무례함을 범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을 지키지 않아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관계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어원 및 의미

'결례'는 '이지러질 결(缺)'과 '예도 례(禮)'로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이는 예의가 부족하거나 결핍된 상태를 의미하며, 단순히 예의가 부족한 것을 넘어 상대방을 경멸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례의 종류

결례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황과 맥락에 따라 그 심각성이 달라진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언어적 결례: 반말 사용, 험담, 비속어 사용, 지나친 농담, 타인의 약점 지적 등
  • 행동적 결례: 늦게 도착하거나 약속을 어기는 행위, 공공장소에서의 소란, 타인의 물건을 허락 없이 사용하는 행위, 부적절한 복장 등
  • 태도적 결례: 무관심한 태도, 비웃음, 빈정거림, 무시하는 듯한 태도 등

결례의 영향

결례는 개인 간의 관계는 물론,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개인 관계 악화: 결례는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어 관계를 손상시키고, 심한 경우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업무 효율성 저하: 직장 내에서의 결례는 동료 간의 협력을 저해하고, 업무 분위기를 악화시켜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 사회적 평판 손상: 반복적인 결례는 개인의 사회적 평판을 떨어뜨리고, 신뢰를 잃게 만들 수 있다.

결례를 피하는 방법

결례를 피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대방이 불쾌하게 느낄 수 있는 언행을 자제해야 한다.
  • 상황에 맞는 예절 지키기: 공식적인 자리와 비공식적인 자리를 구분하여 적절한 예절을 지켜야 한다.
  • 경청하는 자세 가지기: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지 않아야 한다.
  • 실수했을 경우 즉시 사과하기: 의도치 않게 결례를 범했을 경우, 즉시 진심으로 사과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용어

  • 무례: 예의가 없고 버릇이 없음.
  • 실례: 예의에 어긋나는 짓을 함. 또는 그런 짓.
  • 예절: 사회 생활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