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산
감산은 생산량이나 생산액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학적 용어로서, 기업이나 산업 전체가 생산량을 의도적으로 줄여 시장에 공급되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가리킨다. 감산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
수요 감소: 시장 수요가 줄어들어 재고가 쌓이거나 가격 하락이 예상될 때, 기업은 생산량을 줄여 공급 과잉을 해소하고 가격을 안정화하고자 한다.
-
가격 유지: 특정 산업에서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기업들은 담합 또는 합의를 통해 생산량을 줄여 가격을 인상하거나 유지하려 할 수 있다.
-
원가 상승: 생산 비용(원자재 가격, 인건비 등)이 상승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때, 기업은 생산량을 줄여 비용 절감을 시도하거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
시장 상황 악화: 경제 불황, 금융 위기 등 시장 상황이 악화되어 수요가 급감할 경우, 기업은 생산량을 줄여 위험을 회피하고 생존을 도모한다.
감산은 단기적으로는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산업의 경쟁력 약화, 고용 불안정, 소비자 후생 감소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감산 정책은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시장 상황과 산업 구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담합을 통한 감산은 공정거래법에 위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