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66건

간선급행버스

간선급행버스 (幹線急行버스, Bus Rapid Transit, BRT)는 일반 버스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시 내 또는 도시 간의 주요 간선 도로를 빠르게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BRT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시스템에 비해 건설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일반 버스보다 더 높은 수송 능력과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징

  • 전용 차로 또는 우선 신호: BRT는 교통 체증을 피하고 정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의 일부를 전용 차로로 사용하거나, 교차로에서 우선 통행 신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
  • 고급 차량: BRT는 일반 버스보다 더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저상버스, 굴절버스, 2층 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고급 차량을 사용한다.
  • 역외 정차 (Off-board Fare Collection): 승객이 버스에 탑승하기 전에 미리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탑승 시간을 줄이고 정차 시간을 단축한다.
  • 고품질 정류장: BRT 정류장은 승객 편의를 위해 냉난방 시설, 좌석, 실시간 운행 정보 안내 시스템 등을 갖춘 경우가 많다.
  • 정보 제공: 실시간 버스 위치 정보, 도착 예정 시간, 노선 정보 등을 제공하여 승객들이 효율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점

  • 경제성: 지하철이나 경전철에 비해 건설 및 운영 비용이 저렴하다.
  • 유연성: 노선 변경 및 확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 접근성: 기존 도로를 활용하기 때문에 정류장 설치가 비교적 자유롭다.
  • 환경 친화성: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여 교통 체증 및 대기 오염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단점

  • 교통 체증: 전용 차로가 확보되지 않거나 우선 신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일반 차량과 함께 교통 체증을 겪을 수 있다.
  • 수송 능력: 지하철이나 경전철에 비해 수송 능력이 제한적이다.
  • 이미지: 일반 버스와 차별화되지 못할 경우, 고급 대중교통 시스템으로서의 이미지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의 BRT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부산, 대전, 세종 등 여러 도시에서 BRT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서울의 중앙버스전용차로, 세종특별자치시의 BRT 등이 있다.

관련 용어

  • 중앙버스전용차로
  • 굴절버스
  • 저상버스
  • 대중교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