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32건

각결막염

각결막염은 각막과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각막은 눈의 가장 바깥쪽 투명한 막이고, 결막은 눈꺼풀 안쪽과 안구의 흰자위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이다. 따라서 각결막염은 이 두 부위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

각결막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감염성 원인: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세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 진균 (곰팡이), 클라미디아 등이 있다. 특히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 비감염성 원인: 알레르기, 건성안, 자가면역 질환, 외상, 화학 물질 노출, 콘택트렌즈 사용 등이 있다.

증상

각결막염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눈의 충혈
  • 눈의 통증 또는 이물감
  • 눈물 흘림
  • 눈곱 (분비물)
  • 눈부심
  • 시력 저하 (각막 혼탁 시)
  • 눈꺼풀 부종

진단

각결막염은 환자의 병력 청취 및 세극등 현미경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필요에 따라 눈물 검사, 각막 상피 세포 검사, 세균 배양 검사 등을 시행하여 원인을 감별할 수 있다.

치료

각결막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다.

  • 감염성 각결막염: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항진균제 등을 사용하여 감염을 치료한다.
  • 비감염성 각결막염: 인공눈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등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한다. 알레르기성 각결막염의 경우,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성안에 의한 각결막염의 경우, 눈물 생성을 촉진하는 약물이나 눈물점 폐쇄술을 고려할 수 있다.

예방

각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손을 자주 씻는다.
  • 눈을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
  • 개인 위생 용품 (수건, 베개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 콘택트렌즈를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알레르겐을 피한다.
  • 눈이 건조하지 않도록 인공눈물을 사용한다.

참고 문헌

  • 대한안과학회. (2023). 안과학.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