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397건

HTTP/2

HTTP/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는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주요 개정판이다. HTTP/1.1의 후속 버전으로, 성능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을 포함한다. HTTP/1.1과 비교하여 HTTP/2는 더 빠르고 효율적인 웹 페이지 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주요 특징:

  • 다중화(Multiplexing): HTTP/1.1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 처리할 수 있었지만, HTTP/2는 하나의 TCP 연결을 통해 여러 개의 요청과 응답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페이지 로딩 시간을 단축하고, 지연 시간을 줄인다.
  •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HTTP 헤더의 크기를 줄여 전송 시간을 단축한다. HPACK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반복되는 헤더 필드를 압축한다.
  • 서버 푸시(Server Push):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리소스(예: 이미지, 스크립트)를 미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페이지 로딩 시간을 단축한다.
  • 바이너리 프레이밍(Binary Framing): HTTP/1.1의 텍스트 기반 프레임워크와 달리, HTTP/2는 바이너리 프레임을 사용하여 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이는 오류 검출 및 복구를 향상시킨다.
  • 스트리밍(Streaming): 응답을 부분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전체 응답을 다운로드하기 전에 페이지의 일부를 렌더링할 수 있다.

HTTP/1.1과의 차이점:

HTTP/2는 HTTP/1.1의 많은 한계점을 해결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다중화 기능을 통해 여러 리소스의 병렬 다운로드가 가능해짐으로써 페이지 로딩 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헤더 압축과 서버 푸시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페이지 로딩 시간을 최소화한다.

장점:

  • 향상된 성능 및 속도
  • 개선된 웹 페이지 로딩 시간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 더 나은 사용자 경험

단점:

  • 구형 브라우저와의 호환성 문제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 브라우저는 지원한다)
  • 구현의 복잡성

HTTP/2는 웹 개발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웹 서버 및 브라우저에서 지원된다. HTTP/3의 등장으로 점차적으로 사용 비중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웹 사이트에서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