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클루전
트랜스클루전 (Transclusion)은 컴퓨터 과학, 특히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에서 하나의 문서나 문서의 일부를 다른 문서에 포함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원본 문서의 내용이 다른 문서에 "삽입"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문서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트랜스클루전의 핵심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동적 연결: 트랜스클루전을 통해 삽입된 내용은 원본 문서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갱신된다. 즉, 포함된 문서를 수정하면 그 내용을 참조하는 모든 문서에도 변경 사항이 반영된다. 이는 정적인 복사-붙여넣기와 구별되는 중요한 차이점이다.
- 재사용성: 동일한 내용을 여러 문서에서 재사용할 수 있어, 정보의 중복을 줄이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동일한 내용이 여러 곳에서 사용될 경우, 원본 문서만 수정하면 되므로 효율성이 높다.
- 모듈화: 복잡한 문서를 여러 개의 작은 모듈로 나누어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이 모듈들을 조합하여 전체 문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문서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트랜스클루전은 위키 시스템, 특히 미디어위키(MediaWiki)에서 널리 사용된다. 위키백과를 포함한 많은 위키 사이트에서 템플릿, 문서 조각, 이미지 등을 여러 페이지에 걸쳐 포함시키는 데 활용된다. {{템플릿 이름}}
과 같은 형태로 특정 템플릿을 페이지에 삽입하는 것이 트랜스클루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트랜스클루전은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문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중요한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