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소행성

소행성은 태양계 내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 중 행성으로 분류되기에는 질량이 부족하여 왜행성으로도 분류되지 않는 천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암석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수 미터에서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특징

  • 궤도: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Asteroid Belt)에 존재하지만, 지구 궤도에 접근하는 지구접근소행성(Near-Earth Asteroid, NEA)이나, 트로이 소행성군처럼 특이한 궤도를 갖는 소행성도 존재합니다.
  • 구성: 주성분은 암석, 금속(철, 니켈 등), 얼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됩니다.
  • 모양: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 경우가 많지만, 일부 큰 소행성은 자체 중력으로 인해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 충돌: 소행성 충돌은 지구를 포함한 행성들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과거 대멸종의 원인으로도 추정됩니다.

분류

소행성은 궤도 특성, 구성 성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궤도에 따른 분류:
    • 소행성대 소행성: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존재하는 소행성
    • 지구접근소행성(NEA): 지구 궤도에 접근하는 소행성. 잠재적으로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 PHA(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도 포함됩니다.
    • 트로이 소행성: 행성(주로 목성)과 같은 궤도를 공유하며, 라그랑주 점(L4, L5)에 위치하는 소행성
  • 구성 성분에 따른 분류:
    • C형 소행성: 탄소가 풍부하며, 태양계 초기의 물질과 유사한 성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 S형 소행성: 규산염 광물과 금속이 풍부하며, 소행성대 안쪽에 주로 분포합니다.
    • M형 소행성: 금속(철, 니켈)이 풍부하며, 모행성의 핵이 파괴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탐사

소행성 탐사는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이해하고, 잠재적인 자원 확보 가능성을 확인하며, 지구 위협 소행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NASA, ESA, JAXA 등 여러 기관에서 소행성 탐사 미션을 수행해 왔으며, 앞으로도 활발한 탐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표적인 탐사 미션으로는 NASA의 Dawn, OSIRIS-REx, JAXA의 하야부사 등이 있습니다.

소행성과 관련된 용어

  • 소행성대(Asteroid Belt):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한 소행성들이 밀집된 영역
  • 지구접근소행성(Near-Earth Asteroid, NEA): 지구 궤도에 접근하는 소행성
  • 잠재적 위험 소행성(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 PHA): 지구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는 지구접근소행성
  • 왜행성(Dwarf Planet): 태양을 공전하며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하지만,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청소하지 못한 천체 (ex. 세레스)

참고 문헌

  • NASA Asteroid Watch: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Minor Planet Center: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