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갑
회갑 (回甲)은 만 60세가 되는 생일을 기념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기념일이다. 환갑(還甲)이라고도 불린다. 육십갑자(六十甲子)가 한 바퀴 돌아 자신이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로 되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래 및 의미
회갑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인간의 수명이 짧았던 과거에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가 컸다. 과거에는 평균 수명이 짧았기 때문에 60세까지 장수하는 것이 드물었으며, 이에 60세 생일은 큰 경사로 여겨졌다. 회갑 잔치는 가족, 친척, 이웃들이 모여 회갑을 맞은 사람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자리였다.
전통적인 회갑 잔치
전통적인 회갑 잔치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준비하고, 회갑을 맞은 사람에게 술잔을 올리는 의례(獻壽)를 행했다. 또한, 회갑을 맞은 사람에게 장수를 상징하는 물건들을 선물하기도 했다. 떡, 과일, 고기 등 풍성한 음식을 차려놓고, 자손들이 절을 올리며 장수를 축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현대의 회갑
현대에 들어서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회갑의 의미는 과거와 조금 달라졌다. 과거처럼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도 있지만, 새로운 시작을 기념하고 앞으로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도 포함된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회갑 잔치 외에도 여행, 가족 모임, 선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갑을 기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