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암
화산암은 화산 활동에 의해 지표면 또는 얕은 지하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굳어진 화성암의 한 종류입니다. 분출암이라고도 불립니다.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고 온도가 빠르게 내려가기 때문에,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결정이 성장할 시간이 부족하여 조직이 매우 작거나 유리질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징:
- 조직: 화산암은 일반적으로 현정질(phaneritic), 반상조직(porphyritic), 유리질(vitreous), 또는 다공질(vesicular) 조직을 가집니다. 현정질 조직은 광물 결정이 작아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하며, 반상조직은 큰 결정(반정)이 작은 결정(석기)으로 둘러싸인 조직입니다. 유리질 조직은 결정 구조가 없이 유리와 같은 형태를 띠는 것이고, 다공질 조직은 기체가 빠져나간 흔적으로 인해 구멍이 많은 조직을 의미합니다.
- 색: 화산암의 색은 화학 조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철과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현무암질 화산암은 어두운 색을 띠는 반면, 규산 함량이 높은 유문암질 화산암은 밝은 색을 띕니다.
- 광물 조성: 화산암의 광물 조성은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달라집니다. 현무암질 화산암은 사장석, 휘석, 감람석 등을 주로 포함하고, 유문암질 화산암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등을 주로 포함합니다.
- 산출: 화산암은 화산 지형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용암 대지, 성층 화산, 순상 화산 등 다양한 화산 지형을 구성하며, 화산쇄설물 형태로도 산출됩니다.
분류:
화산암은 화학 조성, 광물 조성, 조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주요 화산암으로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등이 있습니다.
- 현무암(Basalt): 철과 마그네슘 함량이 높고 규산 함량이 낮은 화산암으로, 어두운 색을 띠며 현정질 또는 유리질 조직을 가집니다.
- 안산암(Andesite): 현무암과 유문암의 중간 정도의 화학 조성을 가지는 화산암으로, 회색 또는 갈색을 띠며 반상조직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유문암(Rhyolite): 규산 함량이 높고 철과 마그네슘 함량이 낮은 화산암으로, 밝은 색을 띠며 현정질 또는 유리질 조직을 가집니다.
활용:
화산암은 건축 자재, 도로 포장재, 시멘트 원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특히 현무암은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다공질 화산암은 가볍고 단열성이 좋아 건축 자재로 사용되거나, 정원석 등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