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7건

혼례복

혼례복은 혼례(婚禮), 즉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입는 특별한 의복을 통칭하는 말이다. 전통 혼례복과 현대 혼례복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전통 혼례복

한국의 전통 혼례복은 신분과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신랑: 사모관대(紗帽冠帶)는 조선시대 양반 계층의 혼례복으로, 사모(紗帽)와 단령(團領)을 착용하고, 허리에는 각대(角帶)를 띠며, 목화(木靴)를 신는 복식이다. 서민의 경우, 평상복에 사모관대를 간소화하여 착용하기도 했다.
  • 신부: 활옷( 활옷)이나 원삼(圓衫)은 조선시대 왕족이나 양반 계층의 혼례복으로, 화려한 자수와 색상이 특징이다. 활옷은 붉은색 바탕에 다양한 길상(吉相) 문양을 수놓아 신부의 행복과 번영을 기원하며, 원삼은 활옷보다 간편하게 착용하는 예복이다. 서민의 경우, 녹원삼(綠圓衫)을 착용하기도 했다.

현대 혼례복

현대의 혼례복은 서양의 영향을 받아 웨딩드레스와 턱시도가 일반적이다.

  • 신부: 웨딩드레스는 흰색 드레스가 일반적이며,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제작된다. 면사포(面紗帽)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티아라나 코사지 등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 신랑: 턱시도는 검은색이나 남색 계열의 정장으로, 나비넥타이(Bow tie)나 넥타이를 착용한다. 부토니에르(Boutonniere)로 장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통 혼례복과 현대 혼례복을 혼합하거나,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반영한 다양한 스타일의 혼례복이 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