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해고는 고용 관계의 종료를 의미하는 용어로, 고용주가 근로자와의 고용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근로자의 잘못이나 부족함, 또는 회사의 경영상 어려움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며, 해고의 정당성 여부는 해고 사유의 정당성, 절차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된다. 법률적으로는 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부당해고로 간주되어 근로자는 법적 구제 절차를 통해 손해배상 등을 청구할 수 있다.
해고의 유형은 다양하며, 그 이유와 절차에 따라 정리해고, 개별해고, 징계해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리해고는 경영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근로자를 감축하는 경우를 말하며, 개별해고는 특정 근로자의 개인적인 사유로 인한 해고를 의미한다. 징계해고는 근로자의 비행이나 직무태만 등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해고이며, 일반적으로 징계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해고는 근로자에게 경제적, 심리적 타격을 줄 수 있는 중대한 사항이므로, 고용주는 해고 결정 시 신중을 기하고 법률 및 관련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해고 통지 기간, 해고 예고 수당 지급 여부 등은 해당 국가의 노동법 및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부당해고에 대한 구제 절차는 노동위원회, 법원 등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관련 용어: 부당해고, 정리해고, 징계해고, 해고예고, 해고수당,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