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루브산 키네이스
피루브산 키네이스 (Pyruvate kinase, PK)는 해당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포스포에놀피루브산 (PEP)을 피루브산으로 전환시키면서 ATP를 생성하는 효소이다. 이 반응은 해당과정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의 중요한 예시이며, 세포의 에너지 생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피루브산 키네이스는 4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사량체 효소이며, 다양한 조직과 세포 유형에서 발견된다.
기능 및 작용 기전
피루브산 키네이스는 포스포에놀피루브산의 인산기를 ADP로 전달하여 피루브산과 ATP를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반응은 매우 발열 반응이며, 비가역적이므로 해당과정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루브산 키네이스의 활성은 다양한 대사 조절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ATP, 알라닌과 같은 물질은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반면, 과당-1,6-비스포스페이트 (Fructose-1,6-bisphosphate)는 효소 활성을 활성화시킨다.
동형 효소
피루브산 키네이스는 다양한 동형 효소 형태로 존재하며, 각 동형 효소는 서로 다른 조직에서 특정 대사 요구에 맞춰 발현된다. 주요 동형 효소로는 간 (L형), 적혈구 (R형), 근육 (M형), 그리고 태아형 (M2형)이 있다. 이러한 동형 효소들은 아미노산 서열, 조절 특성, 그리고 조직 분포에서 차이를 보인다.
임상적 중요성
피루브산 키네이스 결핍은 드물지만 중요한 유전 질환으로, 특히 적혈구에서 피루브산 키네이스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만성 용혈성 빈혈을 유발한다. 이러한 결핍은 적혈구의 에너지 생산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적혈구의 생존 기간을 단축시킨다. 피루브산 키네이스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질병의 원인이 되며, 임상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피루브산 키네이스 M2형은 암세포에서 과발현되어 암의 성장과 대사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