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판 재하 시험
정의: 평판 재하 시험(Plate Load Test)은 지반의 지지력을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강성이 높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평판을 지반에 놓고, 평판에 하중을 가하여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함으로써 지반의 지지력 특성을 파악한다. 이 시험은 주로 건축물의 기초 설계, 도로 및 철도의 설계, 지반 개량 효과 검토 등에 활용된다.
시험 방법: 시험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된다.
-
시험 위치 선정: 시험 위치는 대표적인 지반 조건을 반영하도록 선정해야 한다. 지반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여러 지점에서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평판 설치: 지반에 강성이 높은 평판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평판의 크기는 시험 목적과 지반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선택된다.
-
하중 재하: 평판에 점진적으로 하중을 가한다. 하중은 유압잭이나 기타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가한다.
-
침하량 측정: 하중을 가하는 동안, 평판의 침하량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침하량 측정에는 다이얼 게이지 등의 정밀 측정 장비가 사용된다.
-
하중 제거: 최대 하중까지 재하한 후, 하중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며 침하량을 측정한다.
-
결과 분석: 측정된 하중과 침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반의 지지력 특성(지지력 계수, 침하량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설계에 필요한 지반의 강도 및 변형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활용: 평판 재하 시험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 지지력 계수 산정: 기초 설계에 필요한 지반의 지지력을 평가한다.
- 침하량 예측: 구조물의 침하량을 예측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지반 개량 효과 검증: 지반 개량 공법의 효과를 검증한다.
- 지반 조사: 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한계: 평판 재하 시험은 현장 시험이므로, 시험 결과는 시험 위치의 국부적인 지반 조건을 반영한다. 따라서, 시험 결과를 전체 지반 조건에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며, 여러 지점에서 시험을 실시하여 대표적인 지반 조건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평판의 크기 및 하중 재하 속도 등 시험 조건에 따라 결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