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건
탕건은 조선시대에 남자가 관모 아래에 쓰던 일종의 머리 덮개이다. 주로 갓 아래에 썼으며, 실용적인 기능보다는 관모를 갖추어 쓰는 격식을 차리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형태 및 재료
탕건은 말총이나 가는 대오리, 헝겊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형태는 망건 위에 얹는 형태로, 이마를 가리는 전(展)과 머리 위를 덮는 당(++){당으로 구성된다. 탕건의 윗부분은 보통 납작하거나 약간 둥글게 처리되었다.
용도 및 의미
탕건은 갓을 쓸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고, 갓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했다. 또한, 양반 계층에서는 탕건을 착용함으로써 의관을 정제하고 예를 갖추는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평상시에는 탕건만 쓰고 집안에서 생활하는 경우도 있었다.
변천
탕건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했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형태가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탕건은 조선 말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으며, 갑오개혁 이후 관복 간소화와 함께 착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