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팅제
코팅제는 기재(substrate)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기재의 특성을 개선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코팅은 기재의 내구성을 높이고, 부식을 방지하며, 외관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개요
코팅제는 액체, 기체 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며, 적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액체 코팅제는 페인트, 래커, 바니시 등이 있으며, 분무, 브러시, 침지 등의 방법으로 도포된다. 기체 코팅제는 화학 기상 증착(CVD) 등의 방법을 통해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고체 코팅제는 분체 도장이나 플라스마 용사 등의 방법으로 기재 표면에 부착된다.
종류
코팅제는 화학 성분, 적용 방법,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화학 성분에 따른 분류: 유기 코팅제 (아크릴, 에폭시, 폴리우레탄 등), 무기 코팅제 (세라믹, 금속, 유리 등)
- 적용 방법에 따른 분류: 액체 코팅제, 분체 코팅제, 기상 증착 코팅제
- 용도에 따른 분류: 부식 방지 코팅제, 내마모 코팅제, 절연 코팅제, 장식 코팅제
적용 분야
코팅제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된다.
- 건축: 건축물의 외장재, 내장재 보호 및 미관 개선
- 자동차: 차체 부식 방지, 도장, 플라스틱 부품 보호
- 전자: 회로 기판 절연, 부품 보호
- 포장: 식품 포장재의 방습, 방수 기능 부여
- 섬유: 섬유의 발수, 방오 기능 부여
특성
코팅제의 성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접착력: 코팅제가 기재에 얼마나 잘 부착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내구성: 코팅제가 외부 환경 (습도, 온도, 자외선 등)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내마모성: 코팅제가 마모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내화학성: 코팅제가 화학 물질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외관: 코팅제의 색상, 광택, 표면 조도 등
안전 및 환경
코팅제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친환경 코팅제 개발 및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