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치의학

치의학은 구강 및 그 주변 조직의 건강과 질병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넓은 의미로는 치아, 잇몸, 턱, 구강 점막, 침샘, 턱관절 등 구강과 관련된 모든 조직의 건강 유지, 질병 예방 및 치료를 포함한다. 좁은 의미로는 치아와 잇몸의 질환을 치료하는 학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치의학은 단순한 치아 치료를 넘어, 전신 건강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구강 건강 관리를 목표로 한다. 구강 건강은 발음, 저작, 심미 등 다양한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전신 질환의 발병 또는 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치의학은 다음과 같은 세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 보존과: 충치, 치아 마모, 파절 등의 질환을 치료하여 자연 치아를 보존하는 분야이다. 레진, 아말감, 금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치아를 수복한다.
  • 치주과: 잇몸 질환(치은염, 치주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분야이다. 스케일링, 치근활택술, 치주 수술 등을 시행한다.
  • 구강악안면외과: 구강, 턱, 얼굴 부위의 외과적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이다.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수술, 악교정 수술, 구강암 수술 등을 시행한다.
  • 교정과: 치아의 부정교합을 진단하고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올바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분야이다.
  • 소아치과: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 건강을 관리하고 치료하는 분야이다. 유치 관리, 충치 예방, 외상 치아 치료 등을 시행한다.
  • 보철과: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 인공 치아(보철물)를 제작하여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분야이다. 틀니, 브릿지, 임플란트 보철 등을 제작한다.
  • 구강내과: 구강 점막 질환, 턱관절 질환, 구강 건조증 등 내과적 질환과 관련된 구강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이다.
  • 영상치의학과: X선, CT, MRI 등의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질환을 진단하는 분야이다.
  • 치과생체재료학: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과 생체 적합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치의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과 재료의 개발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구강 건강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