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692건

총애

총애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특별히 귀여워하고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예뻐하는 감정을 넘어,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고, 그에 따른 특혜나 혜택을 베푸는 행위를 포함한다. 총애는 권력 관계에서 주로 나타나며, 윗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어원

'총애'는 '모두' 또는 '한데 모으다'라는 뜻의 '총(摠)'과 '사랑하다'라는 뜻의 '애(愛)'가 결합된 단어이다. 즉, 모든 사랑을 한 사람에게 모아 쏟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특징

  • 주관성: 총애는 객관적인 기준보다는 윗사람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감정에 크게 좌우된다.
  • 권력 관계: 총애는 주로 수직적인 권력 관계에서 발생하며,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특혜 및 혜택: 총애를 받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많은 기회나 물질적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질투와 반감: 총애는 다른 사람들의 질투나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조직 내 불화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총애의 긍정적 측면

  • 동기 부여: 총애는 아랫사람의 성취 욕구를 자극하고, 긍정적인 동기 부여를 통해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능력 개발: 윗사람의 관심과 지원을 통해 아랫사람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 소속감 강화: 총애는 아랫사람에게 조직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총애의 부정적 측면

  • 불공정성: 총애는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흐리고, 조직 내 불공정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 특권 의식: 총애를 받는 사람은 특권 의식에 빠져 다른 사람을 무시하거나, 부당한 행동을 할 수 있다.
  • 의존성 심화: 윗사람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져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 조직 문화 악화: 총애는 조직 내 파벌을 형성하고, 건전한 경쟁을 저해하여 조직 문화를 악화시킬 수 있다.

관련 용어

  • 애정
  • 편애
  • 총신
  • 寵 (총)

예시

  • 임금의 총애를 받다.
  • 사장님의 총애를 한 몸에 받다.
  • 스승님의 총애를 받으며 성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총애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