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언
체언(體言)은 문법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역할을 하며, 주로 명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단어의 부류를 지칭한다. 체언은 활용하지 않는 불변어이며, 조사가 결합하여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기능
- 주어: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나타낸다. (예: 철수가 학교에 간다.)
- 목적어: 문장에서 동작의 대상을 나타낸다. (예: 나는 책을 읽는다.)
- 보어: 불완전한 서술어를 보충하여 문장의 의미를 완전하게 만든다. (예: 그는 학생이 되었다.)
- 관형어의 수식을 받음: 체언은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 그 의미가 구체화될 수 있다. (예: 새 책, 저 사람)
- 조사와의 결합: 체언은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예: 책이, 책을, 책에)
종류
- 명사: 사물, 사람, 장소, 개념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예: 책, 사람, 학교, 사랑)
-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가리키는 단어. (예: 나, 너, 그, 이것)
-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 (예: 하나, 둘, 셋, 첫째)
특징
- 불변어: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 조사 결합: 조사가 필수적으로 결합하여 문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일부 예외 존재)
- 문장 내 필수 성분: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체언은 한국어 문법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