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9건

청규

청규(淸規)는 승려들이 수행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규칙과 규범을 담은 책 또는 문서를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선종 사찰의 운영과 관련된 규범집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불교 교단의 전반적인 계율 및 규범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개요

청규는 승가의 질서를 유지하고 수행자의 올바른 생활을 지도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여기에는 사찰 내에서의 예절, 식사, 노동, 수행 방법 등 승려들이 지켜야 할 다양한 규칙들이 포함되어 있다. 청규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내용에 차이가 있으며, 각 사찰의 특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역사

청규의 기원은 초기 불교 교단의 계율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면서 선종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청규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청규로는 백장회해(百丈懷海)가 제정한 《백장청규(百丈淸規)》가 있으며, 이는 선종 사찰 운영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한국 불교에서도 고려 시대 이후 다양한 청규가 편찬되어 사찰 운영에 활용되었다.

주요 내용

청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 사찰 예절: 부처님께 예배하는 방법, 스승과 동료 승려를 대하는 태도 등 사찰 내에서의 예절에 관한 규정.
  • 식사: 공양 시간, 식사 방법, 음식의 종류 등에 대한 규정.
  • 노동: 사찰 내에서의 노동 분담, 노동 시간 등에 대한 규정.
  • 수행: 참선, 염불, 독경 등 수행 방법에 대한 규정.
  • 재산 관리: 사찰 재산의 관리 및 운영에 대한 규정.
  • 벌칙: 규칙 위반에 대한 벌칙 규정.

의의

청규는 승가의 질서를 유지하고 수행자의 올바른 생활을 지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청규는 각 시대와 지역의 불교 문화를 반영하는 자료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관련 용어

  • 계율 (戒律)
  • 백장청규 (百丈淸規)
  • 선종 (禪宗)
  • 승가 (僧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