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굽어지고, 동시에 척추뼈 자체의 회전 변형이 동반되는 복합적인 3차원적 기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척추가 C자 또는 S자 형태로 휘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단순한 자세 이상과는 구별됩니다.
원인
척추측만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특발성 척추측만증: 가장 흔한 형태로,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입니다. 주로 10세 이후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여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 선천성 척추측만증: 태아 발달 과정에서 척추뼈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입니다.
-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 뇌성마비, 소아마비, 근육병증 등 신경 또는 근육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입니다.
- 기타: 외상, 감염,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척추측만증도 있습니다.
증상
척추측만증의 증상은 척추의 휘어진 정도와 위치, 그리고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미한 척추측만증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어깨 높이의 불균형
- 등 또는 허리의 비대칭
- 골반 높이의 불균형
- 갈비뼈 돌출
- 허리 통증
- 피로감
- 심폐 기능 저하 (심한 경우)
진단
척추측만증은 신체 검진과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진단합니다. 신체 검진에서는 어깨 높이, 등, 허리, 골반의 비대칭 여부를 확인하며,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척추의 휘어진 각도(Cobb's angle)를 측정합니다.
치료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척추의 휘어진 정도, 환자의 나이, 성장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관찰: 척추의 휘어진 각도가 경미한 경우에는 정기적인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진행 여부를 관찰합니다.
- 보조기 치료: 척추의 휘어진 각도가 중등도인 경우에는 보조기를 착용하여 척추의 진행을 늦추거나 교정합니다.
- 수술 치료: 척추의 휘어진 각도가 심하거나, 보조기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척추를 교정합니다.
예방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경우에는 특별한 예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