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
편찬이란, 일정한 목적과 체계에 따라 여러 자료를 모아 정리하고 엮어서 책이나 자료집 등을 만드는 일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단순히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주요 과정:
- 자료 수집: 편찬의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한다. 이는 문헌 자료, 통계 자료, 구술 자료, 시청각 자료 등 형태를 가리지 않는다.
- 자료 분류 및 정리: 수집된 자료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정리한다. 분류 기준은 주제, 시대, 유형 등이 될 수 있다.
- 내용 분석 및 평가: 자료의 내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기도 한다.
- 집필 및 편집: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 전체적인 구성과 흐름을 고려하여 편집한다.
- 교정 및 교열: 오탈자나 문법 오류를 수정하고, 내용의 정확성을 검토한다.
- 출판 및 배포: 최종적으로 완성된 자료를 출판하거나 배포한다.
편찬의 목적:
- 지식의 축적 및 보존: 흩어져 있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대에 전달하고 보존한다.
- 정보의 공유 및 확산: 특정 분야의 정보를 널리 알리고 활용을 촉진한다.
- 학문 연구의 기초 자료 제공: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사회 교육 및 문화 발전 기여: 사회 구성원들의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고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편찬의 예시:
- 사전, 백과사전
- 역사서, 지리서
- 법전, 통계연보
- 학술 논문집, 연구 보고서
- 교과서, 학습 참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