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709건

조산

조산(早産, preterm birth)은 임신 37주 미만에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정일보다 일찍 태어난 아기를 조산아(早産兒, premature infant)라고 부른다.

원인

조산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주요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산모 요인: 산모의 연령 (너무 어리거나 고령), 이전 조산 경험, 다태 임신 (쌍둥이, 세쌍둥이 등), 자궁 및 태반 이상, 임신 중 감염 (요로 감염, 질염 등), 만성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 흡연, 음주, 약물 남용, 심한 스트레스 등이 있다.
  • 태아 요인: 태아 기형, 태반 조기 박리, 전치 태반, 양수 과다증 또는 과소증 등이 있다.
  • 사회경제적 요인: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의료 접근성 부족 등도 조산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증상 및 진단

조산의 징후는 다음과 같다.

  • 규칙적인 자궁 수축
  • 질 출혈
  • 양막 파수 (양수가 터지는 경우)
  • 골반 압박감
  • 허리 통증

조산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아야 한다. 진찰을 통해 자궁 경부 길이 측정,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여 조산 여부를 진단한다.

치료 및 관리

조산이 임박한 경우, 의료진은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자궁 수축 억제제 투여: 자궁 수축을 늦추거나 멈추게 하여 분만을 지연시킨다.
  • 스테로이드 투여: 태아의 폐 성숙을 촉진하여 출생 후 호흡 곤란 증후군 발생 위험을 줄인다.
  • 신생아 집중 치료 준비: 조산아는 출생 후 다양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신생아 집중 치료실(NICU)에서 전문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한다.

조산아는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체온 유지, 호흡, 영양 섭취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공호흡기, 보온기, 정맥 주사 등을 통해 생존을 돕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적인 관리를 받게 된다.

예방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임신 전 건강 관리: 임신 전 건강 검진을 통해 만성 질환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한다.
  • 임신 중 정기 검진: 산전 진찰을 통해 조산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관리를 받는다.
  •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금연, 금주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며 적절한 휴식을 취한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지한다.
  • 감염 예방: 감염 예방을 위해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예방 접종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