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제수

제수는 제사(祭祀)를 지낼 때 신에게 올리는 음식의 총칭이다. 제사상에 차려지는 다양한 음식들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로, 단순히 먹기 위한 음식이 아니라 조상을 숭배하고 기리는 정성이 담긴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제수의 종류

제수는 지역, 가문, 제사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음식들이 포함된다.

  • 밥과 국: 제사의 기본이 되는 음식으로, 밥은 메(밥), 국은 갱(羹)이라 한다.
  • 탕(湯): 고기, 생선, 채소 등을 넣어 끓인 국으로, 제사상에 올리는 탕은 주로 3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삼탕(三湯)이라고도 한다.
  • 적(炙): 고기나 생선을 구운 음식으로, 육적(肉炙), 어적(魚炙) 등이 있다.
  • 전(煎): 밀가루나 녹두가루 등을 반죽하여 부친 음식으로, 고기전, 생선전, 채소전 등이 있다.
  • 나물: 삶거나 볶은 채소로,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등이 주로 사용된다.
  • 과일: 제철 과일을 올리며, 대추, 밤, 배, 감 등이 대표적이다.
  • 포(脯): 말린 고기나 생선으로, 육포(肉脯), 어포(魚脯) 등이 있다.
  • 술: 제례에 사용되는 술로, 청주나 막걸리 등이 사용된다.
  • 떡: 송편, 시루떡 등 다양한 종류의 떡이 제사상에 오른다.
  • 과자 및 기타: 약과, 다식 등과 같은 과자류와 조과(造果)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제수의 의미와 상징

제수는 단순히 음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음식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조상을 기리는 마음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대추는 자손 번성을, 밤은 조상의 얼을, 배는 순수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수를 준비하는 과정 또한 정성을 다하는 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제수 관련 금기 사항

제수를 준비하거나 제사를 지낼 때 몇 가지 금기 사항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붉은 팥은 귀신을 쫓는다고 여겨져 제사에 사용하지 않으며, 복숭아는 귀신을 불러들인다고 하여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다. 또한, 마늘, 고춧가루 등 강한 향신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