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선
저항선은 기술적 분석에서 자산 가격이 특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기 어려운 가격대를 의미한다. 이는 해당 가격대에서 매도 압력이 강해져 상승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저항선은 과거 고점이나 매물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선과 함께 가격 변동의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개요
저항선은 주식, 암호화폐, 외환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의 가격 차트에서 관찰될 수 있다. 트레이더들은 저항선을 돌파 시 매수 신호, 저항선 부근에서의 반락 시 매도 신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저항선은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며, 거래량, 시장 상황 등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저항선 형성 요인
-
과거 고점: 과거에 가격이 도달했던 고점은 심리적으로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과거 고점에서 매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해당 가격대에 도달하면 매도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
매물대: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량이 많았던 구간은 매물대로 작용하여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다. 해당 가격대에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본전 심리 또는 이익 실현을 위해 매도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은 강력한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200일 이동평균선은 추세 전환의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은 특정 추세의 되돌림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61.8%, 38.2%, 23.6% 등이 주요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저항선 활용 시 유의 사항
-
절대적인 지표가 아님: 저항선은 시장 상황, 거래량 등 다른 요인에 따라 돌파될 수 있다.
-
지지선과 함께 고려: 저항선은 지지선과 함께 가격 변동의 범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확인 매매: 저항선 돌파 후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매매 전략이다.
관련 용어
- 지지선
- 돌파
- 되돌림
- 매물대
- 기술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