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172건

저작근

저작근은 씹는 운동(저작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넓은 의미로는 혀 근육과 입술 근육까지 포함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턱의 움직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네 쌍의 근육, 즉 깨물근(교근), 관자근(측두근),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을 가리킵니다. 이 근육들은 턱뼈(하악골)를 움직여 입을 벌리고 다물거나, 턱을 좌우로 움직여 음식물을 씹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구성 및 기능

  • 깨물근 (교근): 턱을 다무는 가장 강력한 근육 중 하나이며, 턱뼈의 각에서 광대뼈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턱을 들어올리고, 앞으로 내미는 작용을 합니다.
  • 관자근 (측두근): 머리 옆면 관자놀이 부위에 넓게 퍼져 있는 부채꼴 모양의 근육입니다. 턱을 다물고 뒤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 안쪽날개근 (내측익돌근): 턱을 다물고 턱을 좌우로 움직이는 데 관여합니다. 깨물근과 함께 턱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턱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가쪽날개근 (외측익돌근): 턱을 벌리고 앞으로 내밀거나, 턱을 좌우로 움직이는 데 관여합니다. 다른 저작근들과 달리 턱을 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련 질환

저작근의 기능 이상은 턱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J)와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는 턱, 얼굴, 목 부위의 통증, 턱관절 소리, 턱 운동 제한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갈이, 턱을 꽉 다무는 습관, 부정교합 등이 저작근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 및 치료

저작근의 과도한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 올바른 자세 유지, 턱 근육 이완 운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의 경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보톡스 주사, 스플린트 장치 등의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