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37건

돌방무덤

돌방무덤 (문화어: 굴방무덤)은 널방[石室]의 입구를 터널처럼 통로를 내어 만든 고대 무덤 양식이다. 굴식 돌방무덤 또는 횡혈식 석실묘라고도 한다.

개요

돌방무덤은 무덤의 구조상 봉분 아래에 시신을 안치하는 널방(石室)이 있고, 이 널방으로 이어지는 통로인 널길(羨道)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널길은 보통 널방의 한쪽 벽면에 붙어 있으며, 무덤의 입구 역할을 한다. 돌방은 판판한 돌을 쌓아 만들거나(벽돌무덤), 깬돌을 쌓아 만들거나, 자연 암반을 파서 만들기도 한다.

특징

  • 구조: 봉분, 널길, 널방으로 구성
  • 입구: 널길을 통해 널방으로 진입
  • 재료: 판돌, 깬돌, 자연 암반 등
  • 분포: 주로 삼국시대에 유행했으며, 한반도 전역에 분포

역사

돌방무덤은 고구려에서 처음 등장하여 백제와 신라로 전파되었다. 고구려의 돌방무덤은 초기에는 모줄임천장 구조를 가진 것이 많았으나, 점차 아치형 천장 구조로 변화하였다. 백제의 돌방무덤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으나, 널방의 규모가 작고 널길이 짧은 특징을 보인다. 신라의 돌방무덤은 널방 안에 껴묻거리(부장품)를 많이 넣는 경향이 있었다. 돌방무덤은 삼국시대 이후에도 꾸준히 만들어졌으며, 고려시대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의의

돌방무덤은 당시 사회의 계급 구조와 장례 문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돌방무덤 내부의 벽화나 껴묻거리를 통해 당시의 생활 모습과 예술 양식을 엿볼 수 있다.

참고 문헌

  • 한국고고학사전
  •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