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532건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1388년(우왕 14년) 음력 5월, 요동 정벌을 위해 출정했던 고려의 우군도통사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개경을 점령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고려 왕조의 멸망과 조선 왕조의 건국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배경

원나라가 쇠퇴하고 명나라가 강성해지자 고려는 명나라와 새로운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과거 원나라가 지배했던 철령 이북 지역을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고려에 철령위를 설치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최영을 비롯한 강경파는 요동 정벌을 주장하며 반발했다.

전개

우왕은 최영의 주장에 따라 이성계를 우군도통사로, 조민수를 좌군도통사로 삼아 요동 정벌군을 편성했다. 그러나 이성계는 요동 정벌의 불가함을 주장하며 '4불가론'을 내세웠지만, 우왕과 최영은 이를 무시하고 출병을 강행했다.

음력 5월, 이성계와 조민수는 5만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평양을 출발하여 압록강을 건넜다. 그러나 장마로 인해 강이 범람하고 군량 보급이 어려워지자 군사들의 사기가 저하되었다. 이성계는 개경에 사람을 보내 회군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이성계는 조민수와 합의하여 위화도에서 회군을 결정했다.

회군한 이성계는 개경을 점령하고 최영을 제거했으며, 우왕을 폐위시키고 창왕을 옹립했다. 이후 이성계는 조민수를 제거하고 정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결과 및 영향

위화도 회군은 고려 왕조의 정치적 혼란을 심화시키고 이성계가 정권을 장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성계는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옹립한 후, 정치적 기반을 다져 조선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위화도 회군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교체되는 역사적 변곡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