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외조부모

외조부모는 어머니의 부모, 즉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를 통칭하는 말이다. 부계 조부모인 친조부모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모계 혈통의 직계존속을 의미한다.

촌수 관계

외조부모는 본인과 3촌 관계에 해당한다. 촌수 계산 방식에 따라, 어머니와 외조부모가 2촌 관계이고, 어머니의 자녀인 본인과 어머니가 1촌 관계이므로, 2촌 + 1촌 = 3촌이 된다.

상속 관계

대한민국 민법상 외조부모는 직계존속으로서 상속 순위에서 부모 다음 순위를 가진다. 만약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과 배우자가 없는 경우, 피상속인의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이 상속인이 된다. 이때 부모가 모두 사망했다면 외조부모와 친조부모가 공동으로 상속받게 된다.

사회적 의미

외조부모는 손자녀 양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며, 가족 구성원으로서 정서적 안정과 유대감을 제공하는 존재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외조부모의 양육 지원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외가 쪽 친척들과의 관계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