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가
외가는 어머니의 친가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정의
외가는 자신을 기준으로 어머니의 부모, 형제자매, 그리고 그들의 배우자와 자녀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어머니의 친정 식구들을 통틀어 외가라고 부른다. 아버지의 친가는 친가라고 칭하며, 외가는 친가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촌수 관계
외가 식구들과의 촌수 관계는 어머니를 매개로 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는 어머니의 부모이므로 자신과는 각각 외6촌 관계이다. 외삼촌, 외숙모, 이모, 이모부는 어머니의 형제자매 및 그 배우자이므로 자신과는 외4촌 관계이다. 외사촌은 어머니의 형제자매의 자녀이므로 자신과는 외6촌 관계이다.
사회적 의미
외가는 단순히 혈연 관계를 넘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관계이다. 특히, 전통 사회에서는 외가로부터 물질적, 정신적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외가는 자녀 양육과 가족 간의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외가를 방문하여 안부를 묻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은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관련 용어
- 친가: 아버지의 친가
- 외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 외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 외삼촌: 어머니의 남자 형제
- 외숙모: 외삼촌의 배우자
- 이모: 어머니의 여자 형제
- 이모부: 이모의 배우자
- 외사촌: 이모 또는 외삼촌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