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
양계(養鷄)는 닭을 사육하여 알, 고기, 깃털 등을 얻는 산업 활동이다. 가금류 사육의 일종으로, 인류의 식량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개요
양계는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생산이 가능하고, 투자 대비 효율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품종 개량과 사육 기술 발달로 생산성이 꾸준히 향상되어 왔으며, 대규모 기업형 양계에서부터 소규모 자가 소비 목적의 양계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역사
닭은 기원전 동남아시아에서 야생 닭을 길들여 가축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품종으로 분화되었고, 각 지역의 환경과 필요에 따라 양계 방식도 발전해왔다. 대한민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닭을 사육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닭을 감상하거나 투계에 활용하기도 했다. 근대적인 양계 산업은 일제강점기 이후 외국 품종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했다.
양계의 종류
양계는 크게 알을 생산하는 산란계와 고기를 생산하는 육계로 나눌 수 있다.
-
산란계: 알 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으로, 하이라인 브라운, 로만 브라운, 이사 브라운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산란계는 주로 좁은 공간에서 대량으로 사육되는 케이지 사육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평사, 방사 등 다양한 사육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
육계: 고기 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으로, 코브, 로스 등 성장 속도가 빠르고 살이 잘 찌는 품종이 주로 사육된다. 육계는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사육되어 도축되며, 닭고기는 전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많은 육류 중 하나이다.
양계의 현황 및 전망
현대 양계 산업은 첨단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하지만, 닭 질병 발생, 사료 가격 변동, 소비 트렌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동물 복지, 친환경 양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기농, 무항생제 닭고기, 동물복지 인증 계란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양계 산업은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과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용어
- 계사: 닭을 사육하는 건물
- 사료: 닭에게 먹이는 먹이
- 백신: 닭 질병 예방을 위한 약품
- 케이지 사육: 닭을 좁은 철망 우리에 가두어 사육하는 방식
- 평사: 닭을 바닥에 풀어놓고 사육하는 방식
- 방사: 닭을 야외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며 사육하는 방식
- 동물복지: 동물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하고,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사육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