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60,683건

알리셰르 나보이

알리셰르 나보이(Alisher Navoi, 페르시아어: علیشیر نوایی, 위구르 문자: ئەلىشىر نەۋائىي, 1441년 2월 9일 ~ 1501년 1월 3일)는 15세기 티무르 왕조 시대의 중앙아시아 시인이자 학자, 정치가, 신비주의자이다. 투르크어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차가타이어(고대 우즈베크어)로 많은 작품을 남겨 '투르크어 문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본명은 니자무딘 미르 알리셰르(Nizamuddin Mir Alisher)이며, 나보이는 그의 필명이다.

나보이는 헤라트(현재 아프가니스탄 서부)에서 태어나 티무르 왕조의 궁정에서 교육을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여러 학문 분야에 능통했다. 그는 1469년 헤라트의 통치자가 된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의 측근으로 등용되어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나보이는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의 후원을 받아 헤라트를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나보이는 시, 산문,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걸출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함사'(다섯 개의 서사시 모음), '리산 앗 타이어'(새들의 언어), '마잘리스 안 나파이스'(시인들의 모임), '무하카마트 알 루가타인'(두 언어의 비교) 등이 있다. 특히 '무하카마트 알 루가타인'은 페르시아어에 비해 차가타이어의 우수성을 주장하며 투르크어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나보이는 문학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헤라트에 학교, 병원, 도서관 등 다양한 공공시설을 건립하고 운영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헌신했다. 또한, 그는 수피즘(이슬람 신비주의)에 심취하여 신비주의적인 시와 글을 쓰기도 했다.

알리셰르 나보이는 중앙아시아 문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널리 읽히고 연구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는 나보이를 국민 시인으로 추앙하며, 그의 이름을 딴 거리, 광장, 학교 등이 많다. 그의 업적은 투르크어 문학의 자긍심을 높이고 중앙아시아 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