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십진수는 10을 기수로 하는 수 체계이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수 체계이다.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숫자(0, 1, 2, 3, 4, 5, 6, 7, 8, 9)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한다. 각 숫자의 위치에 따라 10의 거듭제곱을 곱하여 전체 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십진수 123은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1 × 10²) + (2 × 10¹) + (3 × 10⁰) = 100 + 20 + 3 = 123
십진수는 위치 기수법의 한 예이며, 각 자릿수의 값이 그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가장 오른쪽 자리는 1의 자리(10⁰), 그 다음은 10의 자리(10¹), 그 다음은 100의 자리(10²) 등으로 이어진다.
십진수는 고대 인도에서 발명되었으며, 아라비아 숫자를 통해 유럽으로 전파되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이진수, 팔진수, 십육진수 등 다른 기수법도 사용되지만, 인간에게는 십진수가 가장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수 체계이다. 십진수는 소수를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통해 정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