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9,509건

심리 이기주의

심리적 이기주의 (Psychological Egoism)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동기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적 견해이다. 즉, 겉으로는 이타적인 행동처럼 보이는 행위조차도 심리적으로는 자기만족, 죄책감 회피, 사회적 인정과 같은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개념

심리적 이기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설명 방식 중 하나로, 윤리학, 심리학, 정치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된다. 이는 인간 행동의 동기를 자기 이익으로 환원시켜 설명하려는 시도이며, 도덕적 판단의 근거를 개인의 욕구 충족에서 찾으려 한다.

주요 주장

  • 모든 행동은 자기 이익 추구: 겉으로 보이는 이타적인 행동도 결국은 자기 자신의 만족이나 이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어려운 사람을 돕는 행위는 타인을 돕는 데서 오는 만족감이나 사회적 인정이라는 이익을 얻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 이기심은 행동의 유일한 동기: 인간은 오직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타인을 위한 행동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결과일 뿐이라고 본다.

비판

심리적 이기주의는 다음과 같은 비판에 직면한다.

  • 검증 불가능성: 모든 행동을 자기 이익 추구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반증 가능성이 낮아 과학적 검증이 어렵다. 어떤 행동이 이타적인지 이기적인지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 정의의 문제: '자기 이익'의 개념이 모호하고 주관적이다. 자기 만족이나 심리적 안정감과 같은 추상적인 것도 '이익'으로 간주할 수 있다면, 거의 모든 행동을 심리적 이기주의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 도덕적 회의주의: 심리적 이기주의는 이타심의 존재를 부정하고 도덕적 행위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만약 모든 행동이 이기적인 동기에서 비롯된다면, 도덕적 의무나 책임과 같은 개념은 무의미해질 수 있다.

관련 개념

  • 윤리적 이기주의 (Ethical Egoism): 심리적 이기주의와 달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는 규범적 주장이다.
  • 합리적 이기주의 (Rational Egoism): 합리적인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는 주장이다.
  • 이기심 (Selfishness):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심리적 이기주의는 이기심을 인간 본성의 일부로 본다.
  • 이타주의 (Altruism): 타인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행위 또는 성향을 의미한다. 심리적 이기주의는 이타주의의 진정성을 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