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실업자

실업자란, 노동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소득을 위한 노동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정의:

  • 국제노동기구(ILO)의 정의에 따르면, 실업자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이다.
    • 만 15세 이상
    • 조사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한 사람
    • 일을 할 의사와 능력이 있으며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분류:

실업자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자발적 실업: 임금이나 근무 조건에 만족하지 않아 스스로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
  • 비자발적 실업: 경기 침체, 구조 조정 등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게 되어 발생하는 실업.
  • 마찰적 실업: 노동 시장에서 일자리를 찾는 데 시간이 걸려 발생하는 단기적인 실업. 정보 부족, 기술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구조적 실업: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인해 특정 기술이나 산업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실업.
  • 경기적 실업: 경기 침체로 인해 총수요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실업.

실업률:

실업률은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실업률은 경제 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실업률 = (실업자 수 / 경제 활동 인구) x 100

영향:

실업은 개인, 사회, 경제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개인적 영향: 소득 감소, 심리적 불안, 건강 악화 등
  • 사회적 영향: 사회 불안 증가, 범죄율 증가,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
  • 경제적 영향: 생산성 감소, 소비 위축, 정부 재정 부담 증가 등

관련 정책:

정부는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한다.

  • 고용 창출 정책: 일자리 제공 및 새로운 산업 육성
  • 직업 훈련 정책: 실업자들의 직무 능력 향상
  • 실업 급여 제도: 실업자들의 생활 안정 지원
  • 고용 안정 정책: 기업의 고용 유지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