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신경외과는 중추신경계(뇌, 척수)와 말초신경계의 질병을 진단하고 외과적, 비외과적 치료를 시행하는 의학 분야이다. 넓은 의미로는 신경계 전반의 질환을 다루지만, 주로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질환에 집중한다.
주요 진료 분야
- 뇌혈관 질환: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뇌동맥류, 뇌혈관 기형 등을 진단하고 수술적 또는 중재적 시술을 통해 치료한다.
- 뇌종양: 뇌, 뇌막, 뇌하수체 등에 발생하는 종양을 제거하거나 조직 검사를 시행한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등 비침습적 치료도 활용한다.
- 두부 외상: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한 두개골 골절, 뇌진탕, 뇌출혈 등을 치료한다.
- 척추 질환: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 골절, 척추 종양 등을 수술 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한다.
- 말초신경 질환: 수근관 증후군, 척골 신경 압박 증후군, 안면 경련, 삼차 신경통 등 말초신경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한 질환을 치료한다.
- 기능 신경외과: 파킨슨병, 간질, 강박증 등 특정 뇌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뇌심부 자극술(DBS) 등의 수술적 방법으로 조절한다.
- 소아 신경외과: 선천성 뇌 기형, 소아 뇌종양, 뇌수종 등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진단 방법
- 신경학적 검사: 환자의 의식 상태, 운동 능력, 감각, 반사 등을 평가하여 신경계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뇌파 검사: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간질 등의 질환을 진단한다.
- 뇌 영상 검사: CT, MRI, 뇌혈관 조영술 등을 통해 뇌, 척수, 혈관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한다.
치료 방법
- 수술적 치료: 개두술, 미세 현미경 수술, 내시경 수술 등 다양한 수술 기법을 사용하여 종양 제거, 혈관 문합, 척추 고정 등을 시행한다.
- 비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신경 차단술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신경 기능을 회복시킨다.
- 중재적 시술: 뇌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코일 색전술, 풍선 확장술 등을 통해 뇌혈관 질환을 치료한다.
- 방사선 치료: 감마나이프, 사이버나이프 등을 이용하여 종양을 제거하거나 성장을 억제한다.
관련 학문
- 신경과학
- 해부학
- 병리학
- 영상의학
- 재활의학